테슬라 차대번호 가리기|블랙박스 영상 공유 전 필수 작업 2가지



테슬라 블랙박스 영상을 유튜브나 온라인 커뮤니티에 신나게 공유하셨나요? 그런데 혹시 영상 속 반짝이는 앞유리 아래, 당신의 소중한 개인정보가 그대로 노출되고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무심코 올린 영상 하나가 나도 모르는 사이 심각한 개인정보 유출 문제의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테슬라 차량은 전면 유리 하단에 차대번호가 노출되어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블랙박스 영상 공유 전 필수 체크리스트 2가지

  • 자동차 번호판 가리기: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개인정보 보호의 첫걸음입니다.
  • 테슬라 차대번호 가리기: 앞유리 하단에 노출된 17자리 VIN을 모자이크 또는 블러 처리하여 차량 정보 유출을 원천 차단해야 합니다.

내 차의 주민등록번호, 차대번호(VIN)란 무엇일까요?

차대번호, 즉 VIN(Vehicle Identification Number)은 차량 고유의 식별 번호로, 사람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습니다. 총 17자리의 알파벳과 숫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안에는 제조사, 생산 연도, 모델, 심지어 생산 공장과 같은 다양한 차량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테슬라의 경우, 이 차대번호는 운전석 앞유리 하단, 대시보드 위 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번호 하나만으로 서비스센터에서는 해당 차량의 정비 이력이나 정확한 옵션 사양까지 모두 조회할 수 있습니다. 중고차 거래 시에는 사고 이력이나 침수차 여부를 확인하는 중요한 정보가 되기도 합니다.



테슬라 차대번호(VIN) 구조 예시
자리 내용 설명
1~3 제조사(WMI) 차량을 만든 제조사를 나타냅니다. (예 5YJ = 테슬라 프리몬트 공장)
4~8 차량 특성(VDS) 모델(모델S, 모델3 등), 차체 유형, 안전 시스템 등의 정보가 포함됩니다.
9 확인 숫자 VIN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보안 코드입니다.
10 제작 연도 차량이 생산된 연도를 나타냅니다.
11 생산 공장 차량이 조립된 공장을 나타냅니다. (예 F = 프리몬트)
12~17 일련번호 각 차량에 부여된 고유 생산 번호입니다.

무심코 노출된 차대번호, 어떤 위험을 초래할까요?

블랙박스 영상이나 주차된 차량 사진을 SNS, 유튜브, 블로그 등에 공유할 때 자동차 번호판은 가리는 경우가 많지만, 차대번호는 무심코 지나치기 쉽습니다. 하지만 차대번호가 유출되면 개인정보 보호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사람이 차대번호를 조회하여 차량의 상세 정보, 정비 이력, 심지어 소유자 정보를 유추하려 시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중고차 시장에서 허위 매물을 만들거나 차량 도난 및 복제와 같은 사기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있습니다. 프라이버시 침해는 물론, 해킹을 통해 더 많은 개인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온라인 커뮤니티나 동호회 카페에 영상을 올리기 전에는 반드시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합니다.



가장 쉬운 테슬라 차대번호 가리기 방법

영상이나 사진 속 차대번호를 가리는 것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전문적인 프로그램이 없어도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동영상 편집 어플이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 모자이크 또는 블러 처리: 대부분의 동영상 편집 어플(VLLO, CapCut 등)이나 프로그램(프리미어 프로, 다빈치 리졸브 등)은 특정 부분을 가리는 모자이크나 블러(흐림) 효과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기능을 이용해 영상에서 차대번호가 보이는 부분을 선택하여 가려주기만 하면 됩니다. 움직이는 영상이라면 ‘트래킹’ 기능을 활용하여 모자이크가 차대번호를 따라다니게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 스티커나 이미지로 가리기: 간단한 편집 어플을 사용해 차대번호 위치에 스티커나 다른 이미지를 덧붙여 가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 물리적인 가림판 사용: 영상을 촬영할 때뿐만 아니라, 주차 시에도 차대번호 노출이 신경 쓰인다면 전용 가림판이나 스티커를 이용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땐 차대번호가 필요해요 (그리고 주의사항)

물론 차대번호는 자동차 관리에서 필수적인 정보입니다. 중고차 판매나 구매 시 정확한 차량 정보 확인을 위해 필요하며, 서비스센터에서 정비를 받거나 자동차 검사를 받을 때도 반드시 확인하는 정보입니다. 또한, 대리운전이나 세차장, 렌터카 업체 등에서 차량 관리를 위해 요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이나 개인에게만 제한적으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정보의 무분별한 수집 및 활용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으므로, 불필요한 정보 노출을 최소화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이는 법적 문제나 과태료를 피하기 위함이 아니라, 잠재적인 위험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안전 예방 조치입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